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
프로젝트 소개

> 프로젝트 소개 > 프로젝트란?

프로젝트란?

지역특화 프로젝트 「레전드 50+

지역이 주도하여 지역특색이 반영된 지역기업 육성을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면, 중앙에서 정책수단을 할당하여 집중 지원합니다.

Regend 50+「레전드 50+」의 의미

지역중소기업 육성정책의 새로운 정책모델로써 지역특화 프로젝트 하나로 지역기업 육성, 지역현안 해결 및 미래 먹거리를 끝까지 지원하여,
우리 경제에서 지역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50% 이상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함축

추진목표

  • 우리 경제에서 지역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50% 이상 달성

    * 중소기업 수출(’19, 39.3%), 총매출(’21, 46.8%), 비수도권 매출(’21, 41.5%)

  • 레전드(Region+end) 50+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중소기업이 성장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, 지역별 특색이 반영된 지역혁신생태계 조성

지원대상

프로젝트 1.0 : 17개 시·도 21개 프로젝트 (‘24년~’26년)

지원분야, 지원사업명, 2024년 지원금 안내
수도권(5개) 중부권(5개) 전라권(5개) 경상권(6개)
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대전 세종 전북 전남 광주 제주 부산 대구 경북 경남 울산
1 1 2 1 2 1 1 1 1 1 2 1 1 1 1 2 1

프로젝트 2.0 : 16개 시·도 프로젝트 (‘25년~’27년)

지원분야, 지원사업명, 2024년 지원금 안내
수도권(3개) 중부권(4개) 전라권(4개) 경상권(5개)
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대전 세종 전북 전남 광주 제주 부산 대구 경북 경남 울산
-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
  • 프로젝트1.0과의 차별성 :
    프로젝트 1.0과 동일하게 지역 주도 혁신의 정책방향은 유지하되 주축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육성계획으로 지원범위와 규모를 확대하고, 지역 리딩기업 육성강화
  • 데이터기반 사업설계 :
    혁신성, 성장성 기준 기업을 유형화(초기→잠재→예비선도)하고 지원대상은 ‘예비선도기업’이상 기업으로 표적화

기대효과

  • 지역기업
    프로젝트 추진단계, 기업의 성장전략 등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필요한 시점(3년 내)에 지원
    → 지역중소기업의 정책 만족도 제고
  • 지역사회
    중기부, 지방정부 등의 정책역량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단위의 정책 추진
    →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 파급효과 극대화
  • 지역혁신기관
    프로젝트 공동 추진 및 지역기업 연계 지원으로 기관 간 칸막이를 낮추고 협업을 강화
    → 기관 간 화학적 클러스터링 효과

지원규모

지역특화 프로젝트 『레전드50+』참여기업 대상으로 3개년 동안 중기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수단, 지역혁신기관의 자체·연계지원 등을 위한 지원예산 투입

중소벤처기업부 「레전드 50+」 지원사업 및 규모

지원분야, 지원사업명, 2024년 지원금 안내
지원분야 사업명 지원대상 ‘24년 ‘25년(안)*
컨설팅 ①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전체 140억원 170억원
창업·성장 ② 창업중심대학 전체 100억원 100억원
제조혁신 ③ 스마트공장 전체 330억원 330억원
정책자금 ④ 중진기금 정책자금(융자) 전체 2,000억원 2,400억원
수출 ⑤ 수출 바우처 전체 100억원 100억원
사업화 ⑥ 지역주력산업기업지원 비수도권 110억원 174억원
인력 ⑦ 중소기업 연구인력 지원 전체 - 30억원
비 전용 R&D ⑧ 산학연 Collabo R&D* 전체 - 300억원
보증 ⑨ 기술보증기금* 전체 - 700억원
<합계> 2,790억원 4,304억원

*레전드50+ 비전용 사업(전체 예산의 일부를 할당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지원하는 사업) : 산학연 Collabo R&D(가점 부여), 기술보증기금(보증비율 상향, 보증료율 감면)